레이블이 ComInf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ComInf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11월 10일 목요일

Google earth traffic layer problem solving.

Currently, This problem was fixed after upgrading google earth 6.0 ver by google.

Trouble:
If you use over google earth 6.0 ver, You can't see traffic layer. Although you turn on traffic layer. Real time traffic information is not showing in your google earth display window.

Shooting:
You have to change to System default language from English(US) language.

  1. Select options in tools menu.
  2. Click General tab and you can find  language settings button.
  3. Change to system default language from other language.
  4. Restart and turn on traffic layer.

Lost administrator passwd in XP?

Trouble:
Lost admin passwd, there is not another user account in XP. So, It's not possible to enter Safe mode. You don't have any XP setup CD. You can't access SAM file. 

Shooting:
  1. Take breath deeply, It's not big problem. Calm down.
  2. Download bootable CD image cd100627.zip in http://pogostick.net/~pnh/ntpasswd/bootdisk.html
  3. Make bootable CD using IMGBurn or nero. et al
  4. Carefully watch video. http://www.youtube.com/watch?v=ssgRinscepY 
  5. follow instruction one by one without any fear. You mistake? don't worry, It's not harmful your system.
  6. If your administrator account is locked, first of all you have to unlock your administrator account.
  7. Good luck. (I have fixed my laptop with this software.)

2011년 10월 14일 금요일

프린터 잉크 리필

이제까지 여러 종류의 프린터를 사용하면서 정품잉크 가격의 압박으로 리필잉크를 많이 사용했음. 가장 최근 프린터는 HP Deskjet 3040 모델로 무선인쇄가 가능한 모델임. 검정잉크가 다 떨어져서 설레는 마음으로 리필을 시도함.

물론 HP 61잉크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여 그대로 따라함.
http://www.refillinstructions.com/HP/H46.htm

그런데 잉크가 노즐에서 줄줄 샘. 미친듯이 줄줄 샘. 시간이 한참 지나니 줄줄 새는게 멈춤. 이때다 싶어 프린트 해봤는데 한장 정도 잘 나오다가 잉크가 떨어진것처럼 출력이 안됨. 이런 작업을 두세번 반복했음.

앍고봤더니 저 사이트에서 가르쳐 준 용량이 틀린거임. 프린터기 출고용 HP61 카트리지는 3ml가 출고시 나오는 용량이고 많이넣으면 5ml를 넣게되어 있는데 용량을 넘게 넣이니 줄줄 새면서 프린트가 안되는 거였음. 주사기로 잉크를 빼냈더니 잘 출력됨.

과유불급은 잉크리필에도 해당됨.

인터넷에서 힘겹게 찾은 프린터에 포함된 카트리지의 용량임. 일반 정품과 겉보기 용량은 같으나 실제 내부에 있는 스폰지의 용량이 다른듯함.


HP 61 black ink cartridge 3ml  190pages.
HP 61 Tri color ink cartridge 3ml 165pages.

2011년 10월 4일 화요일

그래픽 사양 낮은 똥컴에서 게임하기

좀전 포스팅에서 Lego star wars라는 유아용? 게임을 가지고 CD없이 실행하기는 방법을 알려줬음.

근데 내 놋북은 똥컴임. 내 컴처럼 그래픽카드 사양이 낮을 경우 Pixel Shaders v1.1을 지원안한다고 메시지가 뜨면서 실행이 안될거임. 이럴땐 다 포기하고 성능좋은 놋북 지르고 싶음. 그러나 어쩌갰음. 돈이 없으면 몸으로 때워야 하는 법.

이럴때는 귀찮지만 다음 단계를 거쳐야 함.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여 download the 3D-Analyze v. 2.36를 다운받음.


http://www.3dfxzone.it/dir/tools/3d_analyze/download/

압축파일을 풀면 거기에  3DAnalyze.exe 가 있는데 이것을 실행함. 그러면 거기에 SELECT button이 있을거임. 그것을 누르고 LEGO Starwars 실행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실행파일을 선택함.

다 끝나감. 이제 마지막으로 오른쪽에 아래에 수많은 콤보박스중에 다음을 체크함.

*Force SW TnL
*Force max.pixel shader v1.1
*Skip pixel shader v1.4 and v2.0
*Save shaders to file (shader.out)
*emulate HW TnL caps
*emulate pixel shader caps

이것으로 안되면 다음과 같은 콤보박스를 체크함.

emulate hv tnl caps
emulate pixel shader caps
force 16 bit zbuzzer

그리고 나서 SELECT 밑에 RUN을 클릭하면 게임이 실행될 거임.

게임 CD없이 PC에서 게임하기

CD를 매번 게임할때마다 집어 넣는것도 귀찮을 때가 있음. 귀찮은 것도 귀찮은 거지만 CD망가질 수도 있고 시디롬 소음도 무시 못함. 어찌됬든 돈주고 산 게임 CD도 내 컴퓨터에서 바로 실행하고 싶을 때가 있을거임.

그러나 불행히도 대부분의 게임 CD는 불법복사 방지가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데몬 툴에서 ISO를 읽어들일 경우 아예 가상 드라이브를 인식못하게 해버림. 내가 사장이라도 이렇게 함.

그래도 방법은 있음. 좀 아니 많이 귀찮긴 하지만...어렵진 않음.

테스트할 게임은 LEGO Star wars 란 어린이들이 좋아할만한 게임임.

첫단계로 Alcohol 120%와 같은 유틸을 이용하여 원본 CD로 부터 ISO 파일을 만듬. Alchohol를 이용하여 ISO파일을 만드는 것은 인터넷에 많이 나와 있으니 생략하고...이 단계에서는 그냥 ISO파일을 만들기만 하면 됨.

그 다음 아래의 사이트를 방문하여 LEGO Starwars NO-CD 실행파일을 검색함.

http://www.gamecopyworld.com/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파일을 풀면 2개의 파일이 있고 그중에 실행파일을 LEGO Star Wars 가 깔린 디렉토리에 복사하여 덮어씀.

그리고 나서 실행하면 됨.

2011년 9월 29일 목요일

dirty bit 오류 수정

ASUS 노트북을 사용할 때였음. 부팅할때 마다 checkdisk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거임.  이거 하드가 맛이 갖다고 판단했음. 근데 하드검사를 해봐도 배드섹터도 없었음. 우연히 인터넷에서 dirty bit 오류임을 알아냈음. 잘못 판단했으면 하드 바꿀뻔 했음.다음 순서대로 따라해면 문제 해결됨.

1. 먼저 다음의 명령으로 하드의 dirty bit이 있는지 확인.
fsutil dirty query drive:

2. dirty bit이 존재한다면 아래 명령으로 dirty bit 을 제거.
chkdsk /f/r drive:

아래의 블로그 내용을 허가 없이 퍼왔음. 일본어도 잘하는데 컴터도 잘하는듯.

http://blog.naver.com/kago666/120024798542

파이널 데이타로 인한 파일삭제 지연

파이널 데이타 참 좋은 프로그램인거는 확실함. 지워진 사진들 복구할때는 절이라도 하고싶은 심정임. 칭찬받아 마땅한 프로그램임.

그런데....

요거시 치명적인 오작동을 할때가 있음. 증상은 이유없이 파일삭제 느려짐. 또한 디스크 조각모음 수행불가 해짐. 느려터지다 못해 삭제 자체가 안되는 경우도 있음. 처음엔 하드가 오래되서 맛이 간줄 알았으나 원인은 파이널데이터였음.

파이널데이터를 uninstall해도 WDelmgr20 이란 프로세스는 계속 남아 있게 되는데 이것이 원인이 되어 파일삭제를 지연시키는 듯 함.

해결책은 그냥 파이널 데이타 unistall했다고 뚝딱 해결되는거가 아님. WDelmgr20 프로세스를 죽인 다음 system32/driver 디렉토리에 있는 WDelmgr20.exe를 삭제해야함.

그럼. 괜히 멀쩡한 하드 탓하지 말기요.

사용에 주의를 요하는 스파이 웨어 제거 툴

첫번째. 구글에서 제공하는 spyware doctor. 드물지만 시스템파일을 삭제하는 경우가 있었음. 어느날 갑자기  잔뜩 스파이웨어라고 오작동 하더니 시스템 파일을 삭제해버림. 스파이웨어 걸린거 아니냐고? 절대 아님 이거 돌리기전에 다른 유명 프로그램들은 전부 clean하다고 나옴.
결국 이것때문에 포맷했던 경험이 있어서 인지 별로 좋게 보이지 않음. 속도도 겁나게 느림.

두번째, Ad-aware 2000 혹은 anniversary 버전~
시스템 부하가 많이 걸리며 삭제후에도 부팅시 다음과 같은 에러메시지가 생기게 만듬.
“lsDelete program not found – Skipping Autocheck”
이것을 수정하려면 registry를 수정하여야 함. 귀찮게 만듬. Ad-aware 옛날버전도 시스템 망가트린 기억으로 그리 썩 좋게 생각하지 않음. 버전업 되면 좋았졌겠지 하고 써봤는데 역시나 였슴.

LCD 모니터 스크래치 없애는 법

컴퓨터 LCD나 TV LCD를 분해해보면 앞면은 플라스틱임. 두께도 좀 됨. 왠만한 충격에는 깨지지 않음. 예민한 곳은 앞면 플라스틱이 아니라 내부 액정판인데 여긴 얇고 충격에도 약한듯함.

어찌됬든 LCD표면에 스크래치 나면 속상함. 예민하신분들은 매우 힘들어함.

무식한 방법이지만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님.

치약을 손가락에 조금 묻혀 스크레치 난 부분을 살살 문지르고 치약을 딱아내면 깊히 패인게 아니라면 깜쪽같이 없어짐. 내가 직접 컴퓨터 LCD와 TV LCD에 해 봤음.

이방법은 시계에도 쓸 수 있음. 물론 내가 해봤음. 새거처럼 됨.

주의할 점은 코팅이 되어 있는 제품 예를 들어 안경 같은 경우 사용하지 말기 바람. 코팅 다 벗겨짐.

결론은 치약은 만병통치약임. 물론 책임안짐.

잔류전류로 인한 키보드 딜레이 현상.

내 노트북은 오래된 기종임.
Dell INSPIRON 15**임.
아직까진 인터넷, 문서 작업등은 별 무리 없이 돌아감.
관리를 나름 잘해서 이제까지 XP재설치 안해봤음.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한글을 치는데 "ㅇ ㅜ 리ㄴ ㅏ ㄹ ㅏ 대 ㅎ  ㅏㄴ 미 ㄴ 국"  요런식으로 나오는 거임. 영문은 잘 나오는데 한글만 치면 저따구로 나옴. 정말 환장함.

그래서 폭풍 검색을 해봤는데 메인보드 잔류전류로 인한 현상으로 밝혀짐.

파워라인, 노트북 밧데리 탈거 후 파워버튼을 여러번 눌러 메인보드의 잔류전류를 없에 줘야 함. 

이 잔류전류 땜에 한글만 이상하게 쳐지는 게 아니라 웹브라우저에서 마우스 갖다대면 나오는 설명창들도 바로바로 없어짐.

Dell안테 데 였슴.

2011년 9월 28일 수요일

Goodbye Delicious

개인적으로 쇼셜 북마크중 delicious를 가장 좋아했음.
한국에도 마가린이란 쇼셜 북마크 사이트가 있는데 delicious를 따라한 거임.

내가 딜리셔스를 좋아했던 이유는 북마크 된 홈페이지나 검색된 사이트가 얼마나 인기 있는지 선택된 숫자를 보면 간접 확인할 수 있어서임.  

2007년 부터 사용했으니 4년 가까이 사용했음.
중간에 야후가 인수해서 잘 돌아가나 했더니 몇달전부터 야후가 사업포기 했다고 했음.
좀 걱정됬는데 설마 없어지겠나 싶었음.
다행이 안 없어졌음.

그런데 몇일전 부터 사이트가 이상하게 바뀜.
기존 Tag도  보이지 않고 내가 제일 좋아하는 사이트 검색기능도 이상해진거임.
얼핏보기에 별로 매력적이지 않은 stack이란 기능이 추가됨.
몇일 지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려나 했는데 기대를 저버림.
마음이 살짝 아팠음.

그래서 결국 이사하기로 결정하고 다른 쇼셜 북마크를 찾아 봤는데 별로 였음. 특히 diigo...

결국 구글 북마크로 이사. 아끼던 차가 폐차되고 랜트카 얻어 타는 기분임.

2011년 9월 22일 목요일

OpenDNS를 이용한 인터넷 속도 향상법

여기는 캐나다.
인터넷 속도 많이 느림.
각 가정에서쓰는 인터넷도 느린데 도서관 같은 공용 wifi는 말할 필요없음.
다운속도가 1m bps도 안나옴.
구글블로그를 사용하는 이유가 이것 때문임.
티스토리는 로그인도 힘들 뿐더러 글 편집 안됨.


근데 캐나다 오래 살아야 함.
그래서 알아봤음.
개인적으로 근본없는 최적화 인터넷 속도향상 프로그램 설치하는 거 많이 싫어함.

나에게 맞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바로 OpenDNS를 사용하는 것.
설치 그런거 없음.

한번 믿고 기존 DNS를 OpenDNS로 바꿔봐.
반응속도가 빨라지니 체감 인터넷 속도가 향상된 듯한 효과를 줌.

아참 그리고 좋은점이 하나 더 있음.
가끔 살짝 잘못된 오타를 쳤는데 예기치 않게 거시기한 사이트가 뜨면 참 억울하고 난감할 것임.
OpenDNS가 이런 난처한 상황을 막아줌.

어린이가 인터넷 사용할때 오타 많이 나는데 그럴때 거시기한 사이트 뜨는 거 막아줌.
설정을 쉽게 바꿀수 있으니 유해사이트 차단 효과가 미비하다고도 볼수 있지만 미스타이핑으로 인한 뻘쭘함은 충분히 막아줄 것임.

그리고 가끔 .com을 .cm으로 잘못칠때가 있는데 이럴때도 openDNS에서 알아서 .com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줌. 예를 들면 www.google.com을 www.google.cm으로 쳐도 구글로 접속하게 도와줌.

이외에도 QoS Packet Scheduler 에 네트웍 bandwidth를 최대로 바꿔주는 방법이 있음.
원리는 간단함.
윈도우OS에서 기본적으로 네트웍 bandwidth의 20%를 여유분으로 잡고 있음.
그걸 풀어주면 속도가 빨라진다는 얘기임.
마치 고속도로 차선 하나를 사용 못하다가 사용할 수 있게 된거와 같음.
근데 캐나다나 미국은 국도라서 좀 효과가 있는 듯 함.

편도 12차선인 한국 인터넷에는 쓸데 없는 짓임.

DNS 기본 IP는 208.67.222.222
보조IP: 208.67.220.220

2011년 9월 19일 월요일

kml, kmz 가 구글맵에서 import 안될때

구글맵에 개인지도를 만들수 있는데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kml, kmz가 업로드가 안됨.


에러메시지는 다음과 같음.
400. That’s an error. Your client has issued a malformed or illegal request. That’s all we know.
혹은 파일 업로드 작업을 마칠 수 없습니다.지도가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해결책은 그냥 구글 어스를 다시 깔면 됨.
구글어스에서 만든 kml, kmz 파일 문제는 아님.
아마도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공통 구글 api 혹은 라이브러리가 오작동을 한 듯함.
구글 어스를 다시 깔면서 api 혹은 라이브러리가 고쳐진 듯 함.

한국어를 모르는 분들도 배려하는 세심함.
나는 자비롭슴.
영어를 한국말만큼 잘하지 못해 글이 짧음.

When you can't upload kml or kmz in google map, Just Re-install Google earth.